2007 - present

Publications

SHOW NOW

J Residence

2019

The residential site of central Jakarta is characterized as a series of narrow and deep rectangular shape. As the narrow side of the site is on the front road side, when the building is actually seated, only the short side of the elevation is exposed from the entrance road, which is likely to lead to a design emphasizing frontality of the residence. In fact, it is the typical scenery of the area that shows only series of narrow elevational compositions configured with fence and frontal surfaces of the house.

SHOW NOW

차이 속의 건축

2018

After 10 years of steady progress, “Architecture and Society” will finally resume publication after a two-year preparation period with the 30th issue in 2015. There have been many twists and turns, but we have decided to make new changes in order to maintain the founding spirit and name of “Architecture and Society” while overcoming several pressing issues that need to be realistically resolved. First of all, we will avoid the method of describing ...

SHOW NOW

미래의 현재교육

2015

Since I firmly believe that universities are the birthplace of industry, the perspective of universities on the Korean architectural world should always be positive and progressive regardless of the current situation.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architectural world. It is to the extent that the university society, which is relatively less sensitive to reality and slow, is anxious. I am optimistic, but I am still anxious...


SHOW NOW

건축설계 실무교육 도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

2012

Under the WTO, UIA asks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such as B.Arch program, practical experience, and an examination to meet the international requirements. In this context, we are started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Following the foundation of KAAB, Korean architectural education sectors have made substantial changes throughout the nation. There was lots of discussions about education system, however, we are lack of...

SHOW NOW

새로운법제연구원 청사를위한설계경기

2018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are a common occurrence in the architectural profession, but there is always something unnatural about them. Originally, architectural design is fundamentally an act of commission. Since the owner cannot design the building himself, he delegates the task to an expert and has them build his house instead. The purchasing process itself is different from general mass-produced goods where you put several products in front of you...

SHOW NOW

건축계 외부의 시선으로 바라본 건축사

2015

본 지의 타이틀이기도 한「건축과 사회」의 지향점은 건축의 중심과 실체, 그리고 그 속에서 지향해야 할 사회적 가치와 건축사의 책무를 지속적으로 묻고 답하는 것과 그 가치를 사회 속에 던지는 구심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금껏 지면을 통해 그러한 문 답을 성공적으로 해 왔으며 좋은 결과물과 평가를 얻기도 하였다. 하지만, 쉼 없이 달 려온 그 과정을 지나며 깨닫게 된 것은 지금껏 우리 자신을 진단하고 해결점을 모색 하기 위해 건축계 내부의 잣대와 스스로의 해법에 의존해 왔다는 사실이다. 때문에 한번쯤은, 사회를 향해 외치는‘건축사의 목소리’가 아니라 건축사를 향해 던지는 ‘사회의 메시지’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SHOW NOW

정보기술의발전과건축설계의미래

2009

근래 새로운 기술이 세상을 자극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인문 사상분야의 발전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게 영역을 넓혀 나가며 스스를 전진시키고 있는 모습이다.우리는 이러한 기술의 변혁 속에서도 가장 중요한 변화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바로 정보기술의 발전이다. 정보사회, 정보혁명 등 이미 많은 정의들에 익숙하지만 현대사회를 관통하는 근본적인 변화의 역학은 바로 정보기술과 제어라는 제임스 베니거의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보와 그것의 제어는 이미 우리 삶의 모습을 많은 부분 바꾸어 버리고 있다. 관심사는, 이러한 변혁의 힘이 건축분야, 특히 설계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SHOW NOW

실무 수련 제도의 법적 해석과 개선점

2009

건축사법 개정안이 규정하는 실무 수련 제도는 기존의 건축사법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개념의 제도로서 새로운 건축사 자격 관리 제도의 한 축임과 동시에 교육과 실무를 연결하는중요한 수단이라 할 것이다. 이 제도의 도입은 5년제 건축학제와 더불어 우리나라 건축계에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환영할 만하다. 이것의장점을 논하려면 그동안 기존 시스템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어 왔는가를 먼저 돌아보아야 할것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젊은 건축가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건축 실무에 대한 훈련이 종종 너무 소홀히 다루어지거나 사무소별로...

SHOW NOW

건축설계 업무 단계별 구분의 적정성과 개선방향

2015

한국에서 건축설계 프로젝트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를 상상해 보자. 한 건물을 초기부터 설계한 사람이자신의 디자인 의도를 마지막 순간까지 설명하며 감리하는 것은 요즘 들어 거의 불가능한 일처럼 되어버렸다. 그 이유는, 프로젝트가 중간에 멈추어 서는 경우가 허다하며 또 디자인에 재능 있는 사람을 현장으로 내보내 감리를 하게 한다면 사무실 입장에서는 손실이 아닐 수 없으므로 다른 사람이 일을 대신 맡아 하는, 일명 전문분야별 업무수행이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요약해서 말한다면,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있는 구조를 갖추고, ... 

SHOW NOW

3부문 : 건축의 교육과 문화 그리고 건축정책

2008


건축학과 교수 건축의 문화적 측면의 가치와 교육의 필요성은 근래에 들어서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바람에 그치고 말 뿐이라는 것을 우리 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아래에서 언급할 교육과 문화부문의 아젠다들은 건축분야에서 그동안 다양하게 제 기되었지만 바람에 그친 사안들을 건축기본법의 발효와 건축정책위원회의 설립,그리 고 건축정책기본계획의 수립이라는 시류에 맞추어 제도적인 근거로서 정착될 수 있도 록 선별하여 정 리해 본 것이다.

SHOW NOW

프로젝트 리포트 

(T-Walk : 안국빌딩 현상설계 당선작)

2008

본 설계는 안국동 안국빌딩 대지의 바로 옆에 위치한 상업시 설을 증축 후 리노베이션하여 문화.상업시설로 변모시키고자 지 명공모하였던 현상설계 당선작이다. 필자와 함께 건축사사무소 이엔오(소장 김태형)와 건축사사무소 스페이스 연(소장 한형우)과 팀을 이루어 공동작업한 작품이다. 대지는 안국동 안에서도 도 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 남쪽으로는 인사동거리로 진입등는 입구와 면하여 있고는 북쪽으로는 북촌으로 연결되 는 길이 바로 이 대지에서 시작하고 있어 항상 ... 

SHOW NOW

공공디자인위원회 - 2007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새건축사협의회》 참가기

2015

2007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는 문화관광부와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조직위 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 공공디자인학회와 국회 공공디자인 문화포럼이 주관하며,행 정자치부와 한국공공디자인 협회가 후원하는 행사로서 2007년 10월 17일(수)부터 10월 20 일(토)까지 코엑스 컨벤션 홀에서 개최되었다. 행사는 크게 공공관,기업관, 기획관으로 나 누어졌는데 공공관에는 경기도^ 안양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기업관에는 주택공사,설계사 무소 등이 참여하였다. 그리고《새건축사협의회》...

SHOW NOW

건축사등록원제도에 따른 제도변화

2007

건축사법 개정안의 초안에 따르면 기존 동법에 의한 건축사 시험과 시험을 중 심으로 한 여러 가지 제도가 대폭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 에 대한 요구는 건축사 활동이 행해지는 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그 중 대표적인 변화가 바로 WTO체제 하서]서의 U1A 권고기준의 제정과 이보다 더 직접적 인 영힘을 미칠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즉 FTA의 체결이라 할 수 있다. 이 협정에는 주 지하다시피 건축사도 포함되었으며 건축업계의 현황과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한다면3 세계 속에서 다자간의 무역에 관해 규정하는 WTO보다 양자 간의 특별한 관계에 대해 규정하는 FTA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