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립미술관

LocationKorea
Year2023
TypeEducation & Culture; Competition

대지를 활용한 동선의 연결 

동서로 5m, 남북으로 13m의 레벨차를 가진 대지의 특성을 활용하여 미술관을 배치하였 다. 기존 공원의 산책로와 미 술관의 내부 동선을 연결하여 공원 산책로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미술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산책로

미술관 내부의 산책로를 따라 장방향으로 흩뿌려진 각 프로 그램은 산책로 영역 안으로 침투되어 배치되었다. 미술관 내부 산책로를 이용하는 방문 객은 산책을 하며 다양한 프 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에서의 산책과는 다 른 미술관 안의 산책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공원과 연결되는 미술관의 산책로

미술관의 좌측에 위치한 새벽 광장은 공원 이용객이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미술관과 공원을 연결 하는 역할을 한다. 미술관의 내부를 지나 우측에 위치한 조각 광장은 기존에 계획된 조각 공원으로 산책로를 연결 함으로써 공원의 흐름을 유지 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유기적 분할이 가능한 입체적 기획 공간 

수직적으로 분리된 기획 전시 공간은 관람객에게 다양한 시 선에서 작품을 바라볼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존의 평면적인 대공간으로 이루어 졌던 기획공간에서 벗어나 수 직적으로 분리된 기획 공간은 전시에 맞춰 유기적으로 분리 하여 전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창원 시립 미술관 만의 특색있는 기획 전시 공 간으로 관람객에게 색다른 경 험을 선사할 수 있는 공간으 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접근 계획 

기존 차량 및 보행자 동선을 유지하였으며, 방문객 차량 및 하역 차량 동선을 분리하 여 계획하였다. 방문객은 메 인 출입구를 통하여 로비로 출입이 가능하며, 공원의 산 책로와 대지의 레벨차를 활용 하여 산책로에서 미술관의 1 층, 2층으로 모두 출입이 가능 하도록 접근 계획을 하였다. 


확장을 통한 공유되는 강당과 야외 공연장

야외 공연장과 인접하여 배치되어있는 강당은 프로그램에 따라 확장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야외 공연장과 강당은 공원의 연 계 시설로써 경계없는 미술관과 연계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경계 없는 도서자료실

미술관 내 교육 공간 중 하나 인 경계 없는 도서 자료실을 개방적인 공간으로 계획함으 로써 상황에 따라 로비 공간 으로 확장하여 도서 자료실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이는 미술관 내의 산책로를 이용하는 방문객, 전시를 관 람하는 관람객 등 모두에게 도서 자료실에 일상적으로 접 근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계 없는 카페 및 뮤지엄샵

경계 없는 카페 및 뮤지엄샵은 도서 자료실과 함께 개방된 공 간으로 계획을 하였다. 또한 외부 보행자 동선과 연결 가 능하도록 수공간과 외부 테라 스를 계획하였으며, 미술관을 방문하지 않는 공원 이용객도 카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하였다. 


유기적 분할이 가능한 입체적 전시 공간

수직적으로 분리된 전시 공간은 단일한 대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 며, 전시에 따라 분리된 여러개의 소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1,2,3 층에 단일한 공간으로 배치된 기획 전시관은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시선에서 작품을 바라볼 수 있다.